무소불위(無所不爲) - 욥42:2
미국의 비평가 로버트 로젠블럼은 모든 작품을 사랑하기 때문에 글을 쓴다고 말했다. 이는 비평에 있어서 가장 우선시해야 하는 덕목이라는 것이다. 같은 맥락으로 나는 함윤희의 작품에 애정을 느낀다. 그는 두 차례의 개인전을 통해 공개했던 도예와 가구 공예를 다시 한 자리에 펼쳤다. 무엇보다 자신의 이름(세례명)을 건 공간의 개관전이라는데 그 의미가 특별하다.
그의 작품은 저마다의 연대기를 지니며 고난했던 과정과 각각의 사연을 담아 관객과의 소통을 기대하고 있다. 모든 작품은 작가 함윤희로 대변되며 그 주제(concept)는 자연에 기반한다. 이에 대한 소재의 대부분은 어린 시절에 놀던 기억 속의 풍경들이다. 숲속의 마른 낙엽, 개울가의 물수제비 파장과 스치는 바람에도 반응하는 수면 위의 잔물결, 파도에 휩쓸리듯 떠밀려간 해변가 모래사장의 신비로운 잔상들, 바람 부는 날의 선선한 촉감들이 흙으로 빚어낸 꽃잎으로, 나뭇잎으로 재현된다. 빗살 문양의 화병, 연적, 촛대 등의 도예와 가구의 형태로 시각화된 작품들은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삶의 근원이자 정서적 위안이 된다. 우리 역시 흙에서 태어나 흙으로 돌아가는 자연의 일부라는 사실을 지각하는 순간 친밀한 연대감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역사적으로 도자기는 옛 신석기 시대의 토기가 기원으로 알려져 있다. 토기에 유약을 발라 800~900℃의 낮은 온도에서 구워내면 매끈한 형태의 자기가 된다. 함윤희는 도자기를 만들 때 물레를 사용하지 않고 코일링하다 보면 일정하지 않은 손맛의 차이로 유약을 발랐을 때 발색의 깊이감이 그라데이션(gradation)으로 다채로운 느낌을 준다고 말한다. 특히 인디고블루에서 프러시안블루에 이르는 청색 계열의 자기를 보면 공감할 수 있다. 파랑은 영감의 원천이며 희망을 주는 색으로 알려져 있다. 또 바다와 하늘을 연상시키는 파란색이 현명함, 성실함, 신뢰를 상징한다는 점에서 그를 닮았다. 같은 도자기인데도 정형화되지 않은 자유로움과 섬세함에 남다른 매력을 느낄 수 있는데 여기서도 작가적 질감을 유추할 수 있다. 함윤희는 예술적 재능의 DNA를 엄마에게서 물려받았다고 말한다. 사랑하는 엄마의 소원으로 빚게 된 <달항아리>는 팔순 기념 선물로 제 역할을 했다. 하지만 이제는 고인이 되신 엄마와의 소중한 추억이 되어 바라만 봐도 눈시울이 붉어지는 그리움의 대상이 되었다.
그는 오랜 기간 사진을 통해 빛으로 그림을 그렸고, 흙이 지닌 물성이 좋아 도자를 시작한 뒤 성공확률 30%라는 시행착오를 통해 인내를 배웠다. 또 자신의 모든 것을 아낌없이 내어주는 나무의 향 내음에 반해 시작한 목공예는 원하는 형상이 될 때 까지 수정이 가능하고 눈에 보이는 즉각적인 보상의 매력이 있다고 말한다. 이번 전시에 선보인 그의 부단한 수고로 완성된 목가구는 도자 연적의 진열대로 완벽한 조화를 이룬다. 그의 실행적 관심은 한곳에만 머물지 않는다. 한동안 그는 판화에 흥미를 느껴 열공한 적이 있다. 그 과정은 자기(磁器)의 음각 기법으로 활용되면서 한층 극대화된 시너지(synergy)를 보여준다. 무엇이든 세상의 모든 배움은 창작자들에겐 적절한 응용력으로 쓸모를 발휘한다. 이런 작업 방식을 따라가다 보면 작가의 여정이 보인다. 무엇하나 허투루 쓰지 않는 촘촘한 시간들을 견디며 구도자의 오랜 기다림을 손끝 하나하나의 섬세한 노동으로 극복한 쉽지 않은 작업에 대한 열정에 감동하며 고단했던 그의 삶이 예술로서 더욱 풍요롭기를 기대한다.
특히 그간 심혈을 기울여 마련한 마리나갤러리가 소외된 예술인들의 활발한 교류의 장이 되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경기 북부 지역의 힙한 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글. 홍희기(서울디지털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겸임교수)